정리20 Figma와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환상적인 만남: Google Sheets Sync 플러그인 사용법 🚀 안녕하세요, 디자이너 여러분! 오늘은 Figma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플러그인, 'Google Sheets Sync'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데이터를 Figma 디자인에 쉽게 연동할 수 있어요. 특히 대량의 데이터를 다룰 때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1. 플러그인 설치하기먼저, Figma에서 Google Sheets Sync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합니다.Figma 커뮤니티에서 'Google Sheets Sync'를 검색합니다.플러그인을 찾으면 'Install' 버튼을 클릭하세요.💡 개인적인 의견: 이 플러그인은 정말 게임 체인저예요! 특히 여러 페이지의 프로토타입을 만들 때 시간을 엄청나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2. 구글 스프레드시트 준비하기이제 Figm.. 2025. 1. 9. 윈도우와 맥 키보드 단축키 비교 🖥️🍎 윈도우와 맥 사용자들이 서로의 시스템을 사용할 때 가장 혼란스러워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키보드 단축키입니다. 두 운영 체제는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하는 키가 조금씩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축키들을 비교해보겠습니다.기본 단축키 비교기능윈도우맥복사Ctrl + CCommand + C붙여넣기Ctrl + VCommand + V잘라내기Ctrl + XCommand + X실행 취소Ctrl + ZCommand + Z다시 실행Ctrl + YCommand + Y모두 선택Ctrl + ACommand + A저장Ctrl + SCommand + S찾기Ctrl + FCommand + F시스템 단축키기능윈도우맥앱 전환Alt + TabCommand + Tab창 닫기Alt + F4Command + W앱 .. 2025. 1. 9. 2025년, IT 세상을 뒤흔들 5가지 혁신적 트렌드 우리는 지금 기술의 대변혁기에 살고 있습니다. 10년 전만 해도 상상 속에서나 가능했던 일들이 이제는 일상이 되었죠. 스마트폰으로 전 세계 정보를 손바닥 안에서 확인하고, AI 비서와 대화를 나누며, 가상현실 속에서 여행을 즐기는 시대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떤 변화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까요? 2025년은 그리 멀지 않은 미래입니다. 하지만 이 짧은 시간 동안 IT 기술은 또 한 번 큰 도약을 이룰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는 IT 분야에서 15년 넘게 일하면서 기술의 발전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의 변화는 그 어느 때보다도 급격했죠. 이 글에서는 제가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예측한 2025년의 주요 IT 트렌드 5가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트렌드들은 .. 2025. 1. 8. 리액트 강좌4 - 컴포넌트 리액트에서 컴포넌트는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이며, 리액트를 쓰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합니다. 컴포넌트는 단순한 템플릿 이상이라고 표현합니다. 쉽게 재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라이플 사이클 API를 통해서 작업들을 처리할 수 있으며, function 또는 method 등을 이용해서 화면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기능 단위 또는 화면 단위로 컴포넌트를 관리할 수 있어서 관리도 수월하며, 한 파일에 모두 작성하지 않아도 되어, 코드 작성 시 가시성이 좋습니다. 1. 컴포넌트 생성 그럼 이제 간단한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떠한 편집기를 사용해도 상관 없지만, 필자는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럼, 아래 그림과 같이 src/sample 하위에 오른.. 2020. 2. 13. 해킨토시에서 React Native 개발환경 구성하기! VM Ware에 해킨토시를 설치하고 React Native 개발환경 구성을 해보겠습니다. 아래는 제가 설치한 해킨토시 버전입니다. catalina를 설치 했고, 해킨토시 설치 하는 방법은 구글에 많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개발을 위해서 램을 10기가를 잡았는데도 조금은 버벅 거리네요. 1. Homebrew 설치 homebrew 설치 확인을 위해서 brew 버전을 확인해 봅니다. $brew --version Homebrew 2.2.5 Homebrew/homebrew-core (git revision 52ab; last commit 2020-02-12) 저는 2.2.5가 설치되어 있네요. 만약 설치가 안된 분들은 아래 링크로 접속하셔서 homebrew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내용을 복사하셔서 te.. 2020. 2. 13. var, const, let 차이점 비교 및 사용 방법 const는 ES6에서 새로 도입한 것으로 한번 지정하고 나면 변경이 불가능한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이며, let은 동적인 값을 담을 수 있는 변수 값을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ES6 이전에는 var 키워드를 사용했는데요, var 키워드는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함수 단위였습니다. function fun1() { var val = 'hello' if(true) { var val = 'bye' console.log(val) //bye } console.log(val) //bye } 실제 결과 bye bye 위의 결과를 보면 5라인에서 출력한 변수 값은 bye가 출력되고, {} 불럭이 끝난 8라인에서는 'hello'가 'bye' 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유는 위에서도 언급했.. 2020. 2. 11. 이전 1 2 3 4 다음